전체 글 219

Github 초보를 위한 명령어 모음

github를 처음 접하여 멘붕오셨을 분들을 위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수준으로 간단정리를 해보았습니다. github란, 깃(Git)을 사용하는 프로젝트 관리소입니다. Code : 코드 관리 Issues : 코드 상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 보완한 점을 업데이트 Pull requests : 기존 코드에 기능 추가 및 버그 수정 패치 → 승인요청 받아야 함 (나중에 더 추가) 1) 새 repository 생성하기 Repository name에는 원하는 레파지토리 이름을 써넣는다. Description은 안써도 된다. (옵션이다.) Public으로 할지, Private으로 할지 고른 다음, Add a README file :코드 설명서 파일을 추가할 것인지 물어보는 것이다. 해당 레파지토리에 작성할 코드(파..

개발 2023.09.18

공동 혹은 개인 github repository에 project 올리는 방법

git init //git 초기화 git remote -v //내 컴퓨터 remote 상태 출력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주소~~ // 내 컴퓨터에 origin을 추가 git status //git 상태확인 git pull //원격저장소에 있는 프로젝트의 변경사항을 로컬저장소로 가져와 병합하기(갱신) git pull origin master // git pull [원격저장소의 이름] [원격저장소에서 받아오고자하는 브랜치의 이름] 라는 의미 git add * // 원격저장소(내 컴퓨터)에 올라와있는 모든 것을 스테이지 영역에 올리기 git commit -m "this is new project" // -m 옵션 "message " 설명하며(옵션) 스테이지 영역에 있는..

개발 2023.09.18

subnetting 해보기

1. 경우에 따라 subnet을 나누는 방법을 배워보자.네트워크를 합치는 것을 summary, summarization라고 합니다.반대로, 네트워크를 나누는 것을 subnetting,쪼개서 나온 작은 네트워크를 subnet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subnet을 나누는 subnetting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ubnetting을 하는 경우에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1) 필요한 subnet 개수가 있을 때2) 필요한 IP가 있을 때 첫 번째, 필요한 subnet 개수가 있을 때에는 Host ID를 맞추어야 합니다. (단, 2^n으로만 가능)IP 개수 = 해당 네트워크의 크기 = 2^n (여기서 n=Host ID의 bit수) host ID에 따라 IP 개수를 계산해봅시다.192.168.1.0/24h..

IP Address의 구성, 주소 체계

학습목표 1. IP Address의 구성, 진수와 subnet-mask를 알아보자. 2. IPv4의 주소체계에 대해 배워보자. 저번에는 MAC Address의 구성을 봤었죠? MAC Address는 제조사 코드(3byte) + 일련번호(3byte) = 6byte로 이루어져 있다고 했습니다. 이번에는 IP Address의 구성을 살펴보도록 합시다. IPv4: 10진수로 표기 길이: 4byte(32bit) 구분자: . 표현할 수 있는 범위= 약43억개(2^32) 8bit . 8bit . 8bit . 8bit 0~255 . 0 ~ 255 . 0 ~ 255 . 0 ~ 255 IP Address는 ‘network id + host id’ 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첫번째 옥텝의 숫자에 따라서 class(주소 체계)가 ..

계층별(L1~L3) 장비 비교 & 분석

학습목표 1. 허브와 스위치, 라우터를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할 수 있다. 2. switch의 looping이 왜 생기는지 이해하고 방지하는 방식을 말할 수 있다. 계층별 장비들에 대해 알아보고 서로 비교분석하며 차이점과 공통점에 대해 알아봅시다. 다음은 허브와 스위치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한 표입니다. Flooding=들어온 포트 빼고 모든 포트에게 메시지 전송(broadcast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플루딩이라고 합니다.) 허브는 L1장비여서 mac address(L2)와 ip address(L3)를 읽지 못하고, 스위치는 L2장비이기 때문에 ip address(L3)를 읽지 못하므로 ip주소를 모르는 상태가 됩니다. 그러면 이전에 예시를 들었던, 맹구가 떡잎유치원 안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방송한 것처..

MAC Address의 구성과 데이터 전송 방식

학습목표 1. MAC address의 구성과 쓰임을 알아보자. 2. 데이터 전송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MAC address에 대해 알아봅시다. MAC address는 physical address(물리적 주소)라고 이전에 설명했습니다. 자신의 PC MAC주소를 확인하고 싶다면 cmd창을 열고 ipconfig /all 입력하시면 됩니다. ========================================= MAC address 물리적 주소 . . . . . . . . . : 98-83-89-9B-49-F9 ========================================= 구성: 제조사 코드(3byte) + 일련번호(3byte) = 6byte ex) 98-83-89 - 9B-49-F9 OUI..

OSI 7 Layer의 기능 및 TCP/IP

학습 목표1. OSI 7 Layer를 나눈 목적을 이해해보자.2. 계층별 기능과 사용하는 장비, 프로토콜, PDU에 대해 알아보자.3. 캡슐화와 캡슐화 해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OSI 7 Layer ModelOSI=Operating System Interconnection ISO(International Orag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기구)가네트워크를 7계층으로 나눈 것입니다.굳이 계층별로 나누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계층별로 나누면 참 편리합니다.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어떤 계층까지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만,특정 계층 이후부터 동작하지 않는다면어디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목적인 ‘호환성’때문입니다.외국에 여행을 갔을 때 내 ..

케이블의 종류와 연결 방식 및 주소(address)

학습목표 1. 케이블의 종류와 읽는 법칙에 대해 배우고, 케이블 연결을 어떤 방식으로 하는지 알 수 있다. 2. network adapter의 의미와 각 PC, 서버, 라우터, 스위치, 허브의 network adapter의 송수신 순서를 말할 수 있다. 3. 물리적 주소와 논리적 주소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다.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뭐가 필요할까요? 1) 케이블 연결 2) network adapter 장착 3) Address 이 세가지가 필요합니다. 첫 번째, 케이블 연결을 해야합니다. 케이블의 종류는 TP(UTP,STP), 동축케이블, 광케이블이 있습니다. TP=Twisted Pair = 짝을 지어 꼬여있는 케이블 (외부 간섭을 적게 받기 위해서 구리선이 꼬여있는 모습이다.) TP는 쉴드가 없는 UTP..

13. swap과 mount

학습목표 1. swap의 정의와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다. 2. mount의 정의와 다양한 mount 방식들을 사용할 수 있다. swap(스왑)이란? 리눅스에서 물리적 메모리(RAM)의 용량이 가득 차게될 경우, 하드 드라이브에서 남는 여유공간을 활용하여 임시 메모리(가상)로 사용되는 여유 공간을 말합니다. 즉, 시스템이 처리하고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RAM이 충분하지 않을 때 스왑 공간에 이 데이터를 기록한다는 말입니다. 스왑 공간은 하드 드라이브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물리적 메모리에 접근하는 것보다 접근 속도가 훨씬 느립니다. 스왑 공간은 스왑 파티션에 사용되거나 (권장 사항), 스왑 파일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또는 스왑 파티션과 스왑 파일이 함께 스왑 공간을 차지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스왑 공간의..

Linux 2023.09.18